블로그 이미지
Rootrator
1개를 알면 모르는 10개가 튀어나온다..!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Notice

2011. 5. 26. 14:48 Windows

ASP를 이용해 메일을 보낼때 다음과 같은 오류가 떳다

소스코드는 다음과 같았는데

 Set objMail = Server.CreateObject("CDONTS.NewMail")

objMail.From =
objMail.To = 
objMail.Subject = 
objMail.Body = tfstr
objMail.BodyFormat = 0     
objMail.MailFormat = 0     
objMail.send  

빨간 부분에서 오류가 뜬다.

확인 해야 할것은 먼저

C:\WINDOWS\system32 에서 cdonts.dll이 있는지 확인 한다.

없다면 윈2000 서버에서 파일을 가져와서 추가 (윈2003서버에서는 지원하지 않는다.)


그 후에 C:\interpub\mailroot 에 IUSR_(....) 와 IWAM_(....)유저를 추가후에 쓰기 권한을 준 후에

마지막으로 IIS->SMTP 속성 - 보안 탭에 IUSR_(....)를 추가해 준다.



 
 
반응형
posted by Rootrator
2011. 5. 20. 11:53 Windows

윈도우키 + R로 실행창을 띄우고 cmd입력

>regsvr32 "dll파일 경로"

성공하면 등록 성공했다는 팝업창이 뜬다 

반응형
posted by Rootrator
2011. 4. 27. 12:18 Linux
[root@localhost]# dmidecode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P 업로드 용량 제한조절  (0) 2011.06.08
apache 웹서버에서 PHP사용하기  (0) 2011.05.31
TMOUT 설정  (0) 2011.04.22
외장하드를 써보자  (0) 2011.04.21
PHP 버전업으로 인한 ZendOptimizer 연동 시키기  (0) 2011.04.12
posted by Rootrator
2011. 4. 22. 16:52 Linux
ssh나 telnet등 원격접속으로 서버에서 작업을 하다가 일정시간 동안 아무런 입력이 없으면

자동으로 로그아웃 시키는 기능이 바로 TMOUT이다.

/etc/profile에서 설정할경우 모든 유저가 해당되면

특정 유저의 홈디렉토리의 .bash_profile에서 설정한 경우 해당 유저만 적용된다.


bash쉘을 기준으로

export TMOUT
TMOUT=15 (초단위)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ache 웹서버에서 PHP사용하기  (0) 2011.05.31
Device 정보 알아내기  (0) 2011.04.27
외장하드를 써보자  (0) 2011.04.21
PHP 버전업으로 인한 ZendOptimizer 연동 시키기  (0) 2011.04.12
FTP 상위디렉토리 접근차단  (0) 2011.04.06
posted by Rootrator
2011. 4. 21. 15:52 Linux
Windows는 PnP(Plug & Play)가 가능해서 꼽자마자 (드라이버가 있으면) 인식하고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

Linux..더군다나 Server에서도 PnP가..없는건 아니지만 CUI환경에서는 마운트 후에 사용이 가능하다.

먼저 외장하드를 연결하면 Kernel에서 인식을 하고 메세지를 뿌려준다.

 usb 1-1: new high speed USB device using ehci_hcd and address 2
usb 1-1: configuration #1 chosen from 1 choice
Initializing USB Mass Storage driver...
scsi3 : SCSI emulation for USB Mass Storage devices
usb-storage: device found at 2
usb-storage: waiting for device to settle before scanning
usbcore: registered new driver usb-storage
USB Mass Storage support registered.
  Vendor: ST350032  Model: 0AS               Rev:
  Type:   Direct-Access                      ANSI SCSI revision: 02
SCSI device sda: 976773168 512-byte hdwr sectors (500108 MB)
sda: Write Protect is off
sda: Mode Sense: 38 00 00 00
sda: assuming drive cache: write through
SCSI device sda: 976773168 512-byte hdwr sectors (500108 MB)
sda: Write Protect is off
sda: Mode Sense: 38 00 00 00
sda: assuming drive cache: write through
 sda: sda1
sd 3:0:0:0: Attached scsi disk sda
usb-storage: device scan complete
sd 3:0:0:0: Attached scsi generic sg0 type 0

위 메세지에서 장치명이 sda1이라는걸 알았다.

그럼 이제 마운트 후에 사용만 하면 되는것.

[root@localhost]# mount /dev/sda1 /data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vice 정보 알아내기  (0) 2011.04.27
TMOUT 설정  (0) 2011.04.22
PHP 버전업으로 인한 ZendOptimizer 연동 시키기  (0) 2011.04.12
FTP 상위디렉토리 접근차단  (0) 2011.04.06
crontab  (0) 2011.04.05
posted by Rootrator
2011. 4. 14. 16:26 Security
메일 사용시 화이트 도메인을 사용하기 위해서 spf 레코드를 이용한다.

네임서버상에서 zone파일을 수정한 후에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다.


[root@ns3 named]# nslookup
> server 질의할 네임서버의 도메인 또는 IP
Default server: ~.~.~.~
Address: ~.~.~.~#53
> set type=txt
> 화이트 도메인을 사용할 도메인
Server:         ~.~.~.~
Address:        ~.~.~.~#53

abc.com    text = "v=spf1 ip4:xxx.xxx.xxx.xxx~all"

위와 같이 뜬다면 정상적으로 설정이 완료된것이다.

반응형

'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su 제한하기  (0) 2012.01.02
리눅스 웹서버정보 숨기기  (0) 2011.12.13
/tmp 보안설정하기  (2) 2011.09.05
SSH IP / 계정 차단  (0) 2011.03.24
mod_unique_id: unable to find IPv4 addres  (0) 2011.03.03
posted by Rootrator
2011. 4. 12. 15:59 Scripts
PHP 4.3 버전에서 잘만 돌아가던 소스가 5.2에선 먹통이었다.

소스 분석해 보니 변수값을 읽어 오지 못한 것이었는데..

php.ini에서 register_globals 값을 off하라는데... 별 소용이 없었다.

(아파치 재시작을 해주어야 함미다~~~)

php 4버전에서는 위 register_globals 값이 기본적으로 on이 되어있었지만

5버전으로 넘어오면서 보안강화를 이유로 off가 기본값으로 바뀌어 졌다.

따라서 설정을 바꾸지 않으려면 소스 하나씩을 다 바꾸어야 한다.
 
echo $no ; 

위 소스를

echo $_POST[no] ;

이런 방식으로 말이다.
 

하지만 일일히 바꿀 필요 없이 소스 상단에 몇줄 정의해 주기만 해도 된다.

extract($_POST) ;
extract($_GET) ;
extract($_SERVER) ;
extract($_FILES) ;
extract($_ENV) ;
extract($_COOKIE) ;
extract($_SESSION) ;

하지만 마지막 세션줄 추가하니 오류가 떠서 그냥 지워버렸다.
 
위 부분을 정의해 주거나 파일을 하나 생성해서 인클루드 하는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만세
 
반응형
posted by Rootrator
2011. 4. 12. 15:48 Linux

서버이전하면서 기존의 서버의 APM보다 한단계씩 버전업을 시키니 여러가지 문제가 튀어 나왔는데

그중하나가 ZendOptimizer다.

PHP 4.3 -> PHP 5.2로 버전을 올리니 ZendOptimizer 2.5 버전으로는 연동이 안된다는 것이다.

[root@localhost bin]# ./php -v
PHP Warning:  Zend Optimizer does not support this version of PHP - please upgrade to the latest version of Zend Optimizer in Unknown on line 0
PHP 5.2.5 (cli) (built: Mar 28 2011 15:33:22)
Copyright (c) 1997-2007 The PHP Group
Zend Engine v2.2.0, Copyright (c) 1998-2007 Zend Technologies
    with Zend Extension Manager v1.0.6, Copyright (c) 2003-2004, by Zend Technologies

그래서 ZendOptimizer 3.3.9버전으로 다시 설치 하기로 했다.

[root@localhost src]# tar xvzf ZendOptimizer-3.3.9-linux-glibc23-i386.tar.gz
[root@localhost src]# cd ZendOptimizer-3.3.9-linux-glibc23-i386

4_2_0_comp  4_2_x_comp  4_3_x_comp  4_4_x_comp  5_0_x_comp  5_1_x_comp  5_2_x_comp 

data 폴더 중에 php버전에 맞는 모듈를 복사한다.

5.3버전은 지원하지 않으니 5.2버전을 복사한다.

[root@localhost data]# cp 5_2_x_comp/ZendOptimizer.so /usr/local/php/lib/

/usr/local/lib/php.ini에 다음줄을 추가한다

[Zend]
zend_optimizer.version=3.3.9
zend_extension=/usr/local/php/lib/ZendOptimizer.so

그리고 서버상에서는 php.ini 파일은 /etc로 위치를 잡아놨기 때문에
해당 파일에 링크를 걸어준다. 
 
[root@localhost etc]# ln -s /usr/local/lib/php.ini php.ini

이제 ZendOptimizer가 연동되는걸 확인할 수 있다.

[root@localhost bin]# ./php -v
PHP 5.2.5 (cli) (built: Mar 28 2011 15:33:22)
Copyright (c) 1997-2007 The PHP Group
Zend Engine v2.2.0, Copyright (c) 1998-2007 Zend Technologies
    with Zend Optimizer v3.3.9, Copyright (c) 1998-2009, by Zend Technologies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TMOUT 설정  (0) 2011.04.22
외장하드를 써보자  (0) 2011.04.21
FTP 상위디렉토리 접근차단  (0) 2011.04.06
crontab  (0) 2011.04.05
인증없이 ssh/rsync 접속하기  (0) 2011.04.05
posted by Rootrator
2011. 4. 6. 10:40 Linux

vsftp

[root@localhost ~]# vi /etc/vsftpd.conf

chroot_local_user=YES -> 다른 사용자의 홈디렉토리의 상위 접근을 차단합니다.

passwd_chroot_enable=NO -> 현제 사용자의 홈디렉토리의 상위 접근을 차단합니다.

위와 같이 설정해 주시고 서비스를 재시작

/etc/init.d/vsftpd restart 혹은 service vsftpd restart

Proftp

proftpd 설정파일은 /usr/local/proftpd/conf/proftpd.conf에 위치 

설정파일에서 DefaultRoot ~ 이 줄을 추가

만약 root 사용자만 상위로 이동하게 하려면 DefaultRoot ~ !root 

!뒤에 쓰는 유저명은 해당 유저만을 제외하라는 뜻

설정파일을 수정하고 서비스를 재시작합니다

/usr/sbin/proftpd restart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장하드를 써보자  (0) 2011.04.21
PHP 버전업으로 인한 ZendOptimizer 연동 시키기  (0) 2011.04.12
crontab  (0) 2011.04.05
인증없이 ssh/rsync 접속하기  (0) 2011.04.05
가상호스트의 2차도메인에 접속되지 않을때  (0) 2011.03.28
posted by Rootrator
2011. 4. 5. 16:15 Linux

리눅스에서 정말 편한 기능중 하나가 cron이다. 백업이나 또는 서비스 재시작이나..특정 스크립트를 이용하면

그 이용가치가 정말 어마어마하다.

crontab은 총 6개의 필드로 나뉘어져 있다.

 분  시  일  월  요일  작업
 00-59  00-24  00-31  00-12  0-6  

5번 필드 이후에 모든 것은 작업으로 인식한다.

예를 들자면 매월 토요일 새벽 5시에 /backup 디렉토리에 있는 test.sh을 실행하겠다 하면.

[root@localhost ~]# crontab -e
00 05 * * 6 /back/test.sh

이렇게 적어주면 된다. 만약 로그를 남기고 싶으면
00 05 * * 6 /back/test.sh > /back/test.log

stdout으로 화면에 출력되는 모든 로그를 남기려 했을때
>은 overwrite, >>은 append가 된다.

반응형
posted by Rootr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