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Rootrator
1개를 알면 모르는 10개가 튀어나온다..!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Notice

2011. 7. 28. 17:06 Mysql
mysql configure시에 

checking "LinuxThreads"... "Not found"
configure: error: This is a linux system and Linuxthreads was not found. On linux Linuxthreads should be used.  Please install Linuxthreads (or a new glibc) and try again


뭐 이런 에러가 뜬다.

[root@localhost ~]# echo '/* Linuxthreads */' >> /usr/include/pthread.h 

해당 명령어 입력해 준후에 다시 시도해 보면 정상적으로 시도된다. 
반응형
posted by Rootrator
2011. 7. 15. 12:38 Linux
메일 수신을 위한 서비스 중에 대표적으로 ipop3가 있다.

이 서비스는 imap설치 패키지 설치시 같이 딸려 오기 때문에 해당 패키지만 설치하면 되지만

yum list에서는 해당 패키지가 없으며 rpm으로 설치시에 여러가지 의존성 파일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rpm 패키지 설치는 좀 어려움이 많다.

그래서 다른 방법으로 진행을 하기로 했다.

dovecot은 imap과 마찬가지로 ipop3서비스를 지원한다.

[root@localhost ~]# yum -y install dovecot

패키지가 설치 되었으면 /etc/dovecot.conf 파일이 생성된다.

[root@localhost ~]# vi /etc/dovecot.conf

해당 파일에서 protocols , listen 의 주석을 해제한다.

대략 20번째와 39번째 줄에서 확인 가능한다.

이제 관리 계정을 생성해 보자.

[root@localhost ~]# useradd mailroot -m
[root@localhost ~]# passwd mailroot


그 후에 /etc/aliases 의 제일 마지막 줄에 등록해 주자.
root;           myid, mailroot 

[root@localhost ~]# cd /etc/
[root@localhost ~]# makemap hash aliases < aliases

이제 db화한 파일에서 계정을 확인할 수 있다.

[root@localhost ~]# strings /etc/aliases.db

이제 netstat 으로 포트를 확인한 후에 서비스를 올리고 메일 송수신 테스트를 진행하면 완료 

반응형
posted by Rootrator
2011. 7. 6. 17:15 Mysql

느닷없이 index 페이지에서 다음 오류를 뱉었다.

"Got error 127 from storage engine" 


 테이블중 하나가 깨진건데 직접 페이지를 제작한게 아니라 어느테이블을 읽어오는 과정에서 오류 났으면..

빨리 찾았을 텐데.. 그게 아니라 일일히 모든 테이블을 select로 조회해 보니 하나의 테이블에서 오류가 났다.

mysql> select * from tbl_log;
ERROR 1030 (HY000): Got error 127 from storage engine
 

에러가 나는 테이블을 찾았으면

mysql> Analyze table tbl_log;
+-----------------------+---------+----------+----------+
| Table                          | Op        | Msg_type | Msg_text |
+-----------------------+---------+----------+----------+
| db.tbl_log                     | analyze |   status   | OK          |
+-----------------------+---------+----------+----------+
1 row in set (1.21 sec)


 mysql> repair table tbl_log;
+-----------------------+--------+----------+------------------------------------------------------+
| Table                 | Op     | Msg_type | Msg_text                                             |
+-----------------------+--------+----------+------------------------------------------------------+
db.tbl_log           | repair | info     | Read error for block at: 9625580 (error: 5); Skipped |
db.tbl_log           | repair | info     | Read error for block at: 9625588 (error: 5); Skipped |
db.tbl_log           | repair | warning  | Number of rows changed from 74336 to 74332           |
db.tbl_log           | repair | status   | OK                                                   |
+-----------------------+--------+----------+------------------------------------------------------+
4 rows in set (16.67 sec)
반응형
posted by Rootrator
2011. 7. 4. 11:13 Scripts

if test -f /파일명
then 
  echo "있다!" 
else 
  echo "없다!" 
fi 


-d 파일이 디렉토리인지 체크 
-e 파일이 존재하는지 체크 
-f 파일이 일반적인 파일인지 체크 
-g 파일이 SGID 퍼미션을 가졌는지 체크 
-r 파일이 읽기 가능인지 체크 
-s 파일의 크기가 0이 아닌지 체크 
-u 파일이 SUID 퍼미션을 가졌는지 체크 
-w 파일이 쓰기 가능인지 체크 
-x 파일이 실행 가능인지 체크


서버 2대에서 새벽마다 동기화 시킬때

중요설정 파일이 넘어오지 않았다면 설정파일을 잘못 덮어써서 

서비스가 안되는걸 방지하는데 쓸수 있다. 여러모로 유용한 스크립트

 
반응형
posted by Rootrator
2011. 7. 1. 15:13 Windows

Windows 서버 설치후 아마 바로 볼수 있는 오류중 하나 일꺼다.

부모경로를 사용하지 못한다는 에러인데.


IIS-> 웹사이트 등록정보 -> 홈 디렉토리 -> 응용프로그램 설정 -> 구성 -> 옵션 -> 부모경로 사용 체크
반응형
posted by Rootrator
2011. 6. 29. 15:11 Scripts

Microsoft VBScript 런타임 오류 error '800a0006'

오버플로: 'cint'

/list.asp, line 180


어느날 자기네 게시판에 오류가 뜬다고 해서 확인해 보니..

웬일인지 오버플로 에러가 떴다.

int 타입의 한계를 벗어난 값을 받으면 저런 에러가 뜨는데..

오류가 나는 줄에서 Clng 타입으로 바꾸어 주면 해결된다.
 

반응형
posted by Rootrator
2011. 6. 23. 16:51 Linux
트래픽 제어모듈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band를 설치해 보자.

먼저 설치파일을 다운 받은 후에 설치를 진행하자

[root@localhost src]# ./configure --with-apxs=/usr/local/apache/bin/apxs
[root@localhost src]# make
[root@localhost src]# make install


이때 libtool 관련 오류가 뜬다면 다음 명령어 입력

[root@localhost src]# mv /usr/local/apache/build/libtool /usr/local/apache/build/libtool_old
[root@localhost src]# ln -s /usr/bin/libtool /usr/local/apache/build/libtool

자 이제 설치가 완료 되었으니 httpd.conf에서 수정을 해주자.

Load_Modules부분에 해당 모듈이 올라온 것을 확인하면

<IfModule mod_cband.c>
    <Location /cband-status>
        SetHandler cband-status
        AuthName "트래픽관리 페이지"
        AuthType Basic
        AuthUserFile /인증파일이 위치할 경로/.htpasswd
        require valid-user
    </Location>

    <Location /cband-me>
        SetHandler cband-status-me
        Order deny,allow
        Deny from all
        Allow from all
    </Location>
</IfModule>
<Location /cband-status-me>
   SetHandler cband-status-me
</Location>

IP를 제한하고 싶다면 Deny부분에서 적용해 주어도 된다.

이제 가상 호스트 부분에 해당 부분을 추가

  CBandLimit 1G ->제한 트래픽
  CBandPeriod 1D -> 트래픽 리셋 주기
  CBandExceededURL http:// ->트래픽 초과시 이동하는 페이지

이제 아파치에서 설정 해 줄 부분은 다 끝났다.

htpasswd를 이용해서 관리자 인증부분을 설정하면 완료

인증파일이 위치할 경로로 이동하여 .htaccess 파일을 생성 후 내용 입력

AuthType Basic
AuthName "Password Required"
AuthUserFile /인증파일이 위치할 경로/.htpasswd
AuthGroupFile /dev/null
ErrorDocument 401 "ERROR , NOT CORRECT PASSWORD OR USER"
Require valid-user


이후에 아파치 실행파일이 위치한 곳에서 유저와 패스워드를 지정해 준다.

[root@localhost bin]# ./htpasswd -c 유저명
New password:
Re-type new password:
Adding password for user 유저명


자 이제 http://도메인/cband-status-me에서 트래픽 사용량을 볼수 있고

 http://도메인/cband-status 에서 관리자 인증후에 모든 가상호스트의 트래픽도 살펴 볼수 있다.
반응형
posted by Rootrator
2011. 6. 8. 14:25 Linux
리눅스 배보판에 따라 메인보드에 내장된 랜카드를 잡기 못하거나 따로 랜카드를 추가 했을시에

수동으로 랜카드를 잡아 주어야 한다.(윈도우보다 좀 복잡하고 귀찮고 짜증난다)

 
먼저 랜카드 종류를 알기 위해 pci에 장착되어 있는 장치명등을 알아보자

 [root@localhost ~]# lspci -v | grep Ether
02:00.0 Ethernet controller: Attansic Technology Corp. Atheros AR8121/AR8113/AR8114 PCI-E Ethernet Controller (rev b0)
        Subsystem: Attansic Technology Corp. Atheros AR8121/AR8113/AR8114 PCI-E Ethernet Controller

Attacsic Technology 제품이란것을 확인했으면 이제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Linux용 드라이버를 다운받자.

다운 받은 드라이버를 USB를 이용해 옮긴 후에 압축을 풀고 make; make install;

이제 모듈을 탑재해 준다.

설치 폴더에서

[root@localhost src]# modprobe atl1e

모듈을 추가해 준 후에 확인

[root@localhost src]# lsmod | grep atl1e
atl1e                  73376  0

이후에 정상적으로 랜카드가 잡혀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ifconfig -a로 확인해 준 후에

정상적으로 잡혀있는걸 확인하면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를 작성해 준 후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재시작해 준다.

이제 서버 재시작해도 랜카드를 잡을수 있도록 커널에 적재 한다.

[root@localhost src]# cp /root/src/atl1e.ko /lib/modules/커널버전/kernel/net/ipv4/ 

이제 재시작해도 랜카드가 잡히는걸 볼수 있다.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OP3 서비스 사용하기  (0) 2011.07.15
트레픽 제어 모듈(mod_cband)사용하기  (2) 2011.06.23
PHP 업로드 용량 제한조절  (0) 2011.06.08
apache 웹서버에서 PHP사용하기  (0) 2011.05.31
Device 정보 알아내기  (0) 2011.04.27
posted by Rootrator
2011. 6. 8. 11:48 Linux


기본 php 셋팅값에서 업로드 용량제한은 2MB로 설정되어 있다.

 php.ini에서 용량제한을 수정하려면 다음 줄을 변경한다.

 upload_max_filesize = 2M
 max_execution_time = 30
 post_max_size = 8M
 
각각 업로드 파일 사이즈와 업로드에 걸리는 시간, Post방식으로 업로드할때 제한 용량을

입맛에 맞게 조절한다.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레픽 제어 모듈(mod_cband)사용하기  (2) 2011.06.23
리눅스에서 수동으로 랜카드 잡기  (0) 2011.06.08
apache 웹서버에서 PHP사용하기  (0) 2011.05.31
Device 정보 알아내기  (0) 2011.04.27
TMOUT 설정  (0) 2011.04.22
posted by Rootrator
2011. 5. 31. 13:58 Linux

기존 apache웹서버 초기의 httpd.conf에서의 설정으로는

PHP가 작동하지 않는다.

phpinfo()도 그냥 소스로만 보여주는 것을 확인했다면 다음 줄을 추가해 준다.

AddType application/x-httpd-php .php .php3 .htm .html
AddType application/x-httpd-php-source .phps

대략 835번째 줄에서 추가해 주면 된다.

추가 후에 재시작 후 확인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에서 수동으로 랜카드 잡기  (0) 2011.06.08
PHP 업로드 용량 제한조절  (0) 2011.06.08
Device 정보 알아내기  (0) 2011.04.27
TMOUT 설정  (0) 2011.04.22
외장하드를 써보자  (0) 2011.04.21
posted by Rootr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