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Rootrator
1개를 알면 모르는 10개가 튀어나온다..!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Notice

2013. 11. 13. 14:05 Windows

일전에 한번 Windows 2003에서 "원일을 알 수 없는 문제 때문에 Windows에서 Windows방화벽 설정을 열 수 없습니다" 라는 오류를 다룬적이 있었는데,


이 해결책으로 1.타 Windows 2003서버에서 SharedAccess.reg을 가져와서 등록 2. MS 서포트 사이트에 있는 레지스트리 파일을 생성하여 등록 을 올린적이 있었다.(1번 추천)


하지만 레지스트리 "등록시에 레지스트리를 액세스하는 동안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라는 에러가 뜨기고 하고


로컬 보안정책(secpol.msc) 파일 자체가 사라졌다거나 "IPsec 정책 저장소 컨테이너를 열지 못했습니다. 다음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라는 오류가 뜨는 경우가 있다.


위 경우 백이면 백.. 서버가 뚫린게 맞고 좀더 악질적으로 서버를 들쑤신게 되겠다.


먼저 방화벽부터 살려보자.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띄우고 아래 경로로 이동해 보자.


경로 :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SharedAccess


하위 목록이 싹다 지워져 있거나 할 것이다.


먼저 이곳에 레지스트리를 가져오지 못한다는 것은 "권한"이 문제가 된다.



레지스트리 편집기 메뉴 중에서 편집 - 사용 권한으로 들어가 보자.


사용권한이 텅 비어있을것이다.


최상단의 HKEY_LOCAL_MACHINE으로 가서 권한을 수정해 주자.


Administrators(그룹) - 모든권한

CREATOR OWNER(그룹)

Power Users(그룹) - 읽기

SYSTEM(그룹) - 모든권한

Users(그룹) - 읽기


권한이 상속되고 난후엔 SharedAccess.reg파일을 등록시키면 오류없이 등록이 된다.



로컬보안정책은 secpol.msc 자체가 사라진 경우 마찬가지로 2003서버에서 가져오자.(%WINDOWS\system32\에 위치시킴)


다름으로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열어 아래 경로로 이동하자.


경로 : HKEY_LOCAL_MACHINE\SOFTWARE\Policies\Microsoft\Windows\IPSec\Policy\Local


위키를 모두 지우려고 하면 에러가 난다. 마찬가지로 권한을 살펴본후에 administrators그룹에 모든 권한을 주고 삭제를 진행하자.


삭제가 완료되면 아래 명령어로 새 로컬 정책 저장소를 재구성한다.


cmd창에서 regsvr32 polstore.dll (파일은 %WINDOWS\systme32에 위치)


등록후에 secpol.msc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실행이 된다.

반응형
posted by Rootrator
2013. 11. 11. 16:41 Mysql

mysql 5.5 이전버전에서 5.5버전으로 넘어오기 위해 dump로 옮겨올 경우 한글이 깨지거나


정렬이 틀어지는 경우가 있다.


mysql 5.5 설치후 캐릭터셋을 맞춰주지 않으면 latin1으로 자동설정이 되기 때문


mysql> show variables like 'c%';


위 명령어로 현재 서버상의 캐릭터셋을 확인 할수 있다.


캐릭터셋 설정을 위해 my.cnf 파일을 열어 아래와 같이 추가해주자. 여기서는 euckr을 기본으로 사용했다.

utf-8을 사용하려면 euckr대신 utf8을 넣어 추가.


[client]

default-character-set = euckr


[mysqld]

character-set-client-handshake=FALSE

init_connect=SET collation_connection = euckr

init_connect=SET NAMES EUCKR

character-set-server = euckr


[mysqldump]

default-character-set = euckr



UTF-8을 사용하려면 [mysqld] 섹션에 아래줄을 하나더 추가해 준다.

init_connect=SET character_set_system = utf8


마치고나서 mysql 재시작을 하면 정상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정렬이 틀어진 경우는 dump을 다시 떠서 복원을 하거나


phpmyadmin을 통해서 데이터정렬방식을 맞춰주면 정상적으로 정렬이 된다.


phpmyadmin 4.0.x 버전이상은


curl과 mysqli 라이브러리가 필요하다.


php 재컴파일시 아래 옵션을 추가

--with-openssl=/usr/local/openssl 

--with-curl=/usr/bin/curl 

--with-mysqli=/usr/local/mysql/bin/mysql_config


반응형

'My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 변환 함수  (0) 2015.04.15
Mysql 튜닝  (0) 2014.07.03
Mysql에서 too many connection에러  (0) 2011.10.11
1017 : Can't find file: '테이블명.frm' (errno: 13)  (0) 2011.09.22
MySql 설치에러 : checking "LinuxThreads"... "Not found"  (0) 2011.07.28
posted by Rootrator
2013. 10. 1. 15:02 Linux

PHP 5.3 버전을 설치 후 셋팅


5.3 버전부터는 Timezone 셋팅을 해줘야 한다. 셋팅해주지 않으면 아래 오류가 뜸


PHP Warning:  phpinfo(): It is not safe to rely on the system's timezone settings. You are *required* to use the date.timezone setting or the date_default_timezone_set() function. In case you used any of those methods and you are still getting this warning, you most likely misspelled the timezone identifier. We selected 'Asia/Seoul' for 'KST/9.0/no DST' instead in Command line code on line 1



php.ini의 [date] 섹션에 아래를 추가

date.timezone="Asia/Seoul"


그럼 이제 phpinfo를 확인을 위해 httpd.conf에 아래줄을 추가


    AddType  application/x-httpd-php  .php  .php3

    AddType  application/x-httpd-php-source  .phps


그럼 이제 phpinfo로 확인해 보려 했지만 소스가 먹지 않는다.

<?

phpinfo();

?>



위 축약식은 short_open_tag가 on이 되어 있어야 하는데 기본설정으로 Off가 되어 있어서 그렇다.


php.ini에서


short_open_tag=On


변경 후에 정상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5.2버전까지만 해도 잘 사용했던 ZendOptimizer가 ZendGuardLoader로 변경되었지만


설치하는데는 별 문제가 없다.


홈페이지에서 다운후(로그인 필요) 해제후 so파일을 적당한 위치에 넣고 zend_extension으로 지정해 주면 된다.


[root@dev ~]# php -v

PHP 5.3.8 (cli) (built: Oct  1 2013 13:15:07)

Copyright (c) 1997-2011 The PHP Group

Zend Engine v2.3.0, Copyright (c) 1998-2011 Zend Technologies

    with Zend Guard Loader v3.3, Copyright (c) 1998-2010, by Zend Technologies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압축된 백업파일에서 특정 디렉토리만 풀기  (0) 2014.02.25
Linux 시간 설정하기  (0) 2014.02.06
soap사용하기  (0) 2013.08.27
아파치/mysql EUC_KR에서 UTF-8 사용하기  (0) 2013.08.13
2차 네임서버 업데이트설정  (0) 2013.03.29
posted by Rootrator
2013. 8. 27. 16:31 Linux


운영중인 APM서버에서 soap를 사용하려 한다.


첫번째는 php 자체를 재컴파일 하는 방법.


php 소스컴파일 할때의 설치파일 안의 config.status 에는 configure 설치시 옵션이 적혀 있다.


이 옵션을 복사한후에 설치 디렉토리로 이동 후에 --enable-soap 옵션을 추가해서  재컴파일하자.

#cd /usr/local/src/php-5.2.5/

#make clean

#./configure  -- (복사한 configure 옵션) --enable-soap

#make && make install


서비스 재시작 후에 phpinfo()로 soap가 enable되어 있는걸 확인해 보자.


다른 방법은 soap를 컴파일해서 모듈을 추가하는 방법.


설치 파일 아래의 ext/soap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컴파일을 진행

#cd /usr/local/src/php-5.2.5/ext/soap

#/usr/loacl/php/bin/phpize

#./configure --enable-soap --with-php-config=/usr/local/php/bin/php-config

#make

#cp -arp modules/soap.so /usr/local/php/lib


후에 php.ini를 열어 [soap] 섹션에 모듈을 추가해 준다.

soap_extension=/usr/local/php/lib/soap.so


아파치 재시작후에 phpinfo에서 확인.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시간 설정하기  (0) 2014.02.06
PHP 5.3 사용  (0) 2013.10.01
아파치/mysql EUC_KR에서 UTF-8 사용하기  (0) 2013.08.13
2차 네임서버 업데이트설정  (0) 2013.03.29
CentOS 4.x yum 에러시  (0) 2013.01.14
posted by Rootrator
2013. 8. 13. 14:23 Linux

아파치 및 mysql 기본이 euc_kr로 설정 되어 있는데


가상호스트로 utf-8을 사용하는 웹페이지를 운영하려면 추가적인 설정이 필요하다.



우선 소스내의 meta태크에서 charset을 정의해 줘야 하고,

아파치에서 euc_kr로 정의되어 있다면 가상호스트 설정내에서


AddDefaultCharSet UTF-8 


위의 줄을 추가해 주면 된다.


MySQL에서 디비를 생성할 경우 create DB명 deafult character set utf8;


복할할 경우 덤프뜬 백업본을 --default-character-set=utf-8 옵션을 주어 복원하면


euc_kr서버에서 utf-8 웹페이지를 운영하는게 가능해진다.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P 5.3 사용  (0) 2013.10.01
soap사용하기  (0) 2013.08.27
2차 네임서버 업데이트설정  (0) 2013.03.29
CentOS 4.x yum 에러시  (0) 2013.01.14
rsync 사용하기  (0) 2012.09.03
posted by Rootrator
2013. 6. 19. 09:53 Scripts



Warning: imagepng()  [function.imagepng]: gd-png: fatal libpng error: zlib error in 파일명 on line XX





PHP4에서 사용하던 소스를 PHP5에서 운용하다보니 위와 같은 에러 발생


libpng나 gd 등 재설치도 소용이 없었는데.. 문제는 버전차이로 인한 변경점



imagepng($dst, $thumb_path.'/'.$list[$i][wr_id], $qulity);


제일 마지막 함수인데 PHP4에선 압축률을 0 - 100까지 지정할수 있으나 


PHP5에선 0 - 9로 변경되었다.


imagepng($dst, $thumb_path.'/'.$list[$i][wr_id], 9);


위와같이 변경하니 에러가 사라짐..

반응형
posted by Rootrator
2013. 3. 29. 16:33 Linux


1차 네임서버

 named.conf의 옵션에 아래 추가

allow-transfer {

localhost;

2차네임서버 IP;

};



도메인 정의항목에

zone "도메인" { type master; file "zone파일명";allow-update {2차네임서버IP;};};


위와 같이 설정


2차 네임서버
named.conf의 옵션에 아래 추가
allow-transfer {
localhost;
1차네임서버 IP;
};

도메인 정의항목에는
zone "도메인" { type slave; file "zone파일명"; masters {1차네임서버IP;}; };

1차네임서버 zone파일의 시리얼값을 높인후 서비스를 재시작 해보자
zone파일이 정상적으로 업데이트가 되지 않을 경우 /var/log/messages에서 로그 확인이 가능하다.

퍼미션관련 에러가 뜰경우 zone파일의 소유자를 named로 잡아주고 /var/named/chroot/named의 퍼미션을 770으로 잡아줘 보자.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ap사용하기  (0) 2013.08.27
아파치/mysql EUC_KR에서 UTF-8 사용하기  (0) 2013.08.13
CentOS 4.x yum 에러시  (0) 2013.01.14
rsync 사용하기  (0) 2012.09.03
시스템 파티션 리마운트  (0) 2012.09.03
posted by Rootrator
2013. 3. 29. 16:11 Network


국제도메인 1일 2회

 01:00 ~ 02:00

 13:00 ~ 14:00


국내도메인 1일 3회

 08:00 ~ 09:00

 12:00 ~ 13:00

 18:00 ~ 19:00

반응형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3com 스위치 초기화  (1) 2012.11.28
TTL 값  (0) 2011.04.05
서버 Ethernet 속도 잡아주기  (0) 2011.03.28
IP(Internet Protocol)  (0) 2011.03.04
posted by Rootrator
2013. 3. 28. 17:05 Mssql


SQL2000과는 좀 다르다.

ALTER DATABASE [DBNAME] SET RECOVERY SIMPLE

GO


DBCC SHRINKFILE(2, 줄이려는 최종크기)

GO


ALTER DATABASE [DBNAME] SET RECOVERY FULL

GO


마지막 SQL문의 경우 복구모델을 [전체]로 변경하는데 이것은 트렌젝션로그가 쌓이도록 설정을 한다.



첫번제 SQL문은 복구모델을 [단순]으로 변경해두는데 이 설정은 트렌젝션 로그가 쌓이지 않도록 설정하니



쓸데없이 트렌젝션로그로 인한 속도저하나 디스크 용량차지가 걱정되는 경우는 [단순]으로 변경해 두자.

반응형
posted by Rootrator
2013. 2. 4. 14:56 Mssql

저장 프로시저 'sp_addextendedproc'을(를) 찾을 수 없습니다.


없단다...만들자

쿼리 분석기를 통해서 아래와 같이 입력

use master

go


create procedure sp_addextendedproc

@functname nvarchar(517),

@dllname varchar(255)

as


set implicit_transactions off

if @@trancount > 0

begin

 raiserror(15002,-1,-1,'sp_addextendedproc')

 return (1)

end


if @dllname is null or datalength(@dllname) = 0

begin

 raiserror(15311,-1,-1,@dllname)

 return (-1)

end


dbcc addextendedproc( @functname, @dllname)

 return (0) -- sp_addextendedproc

go


반응형
posted by Rootrator
prev 1 2 3 4 5 6 7 8 ··· 14 next